ORM 이란?

  ORM 이란 Object-Relational Mapping 의 약자로, 이름 그대로 객체(Object)와 관계형 데이터(Relational data) 를 매핑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매핑이 필요한 이유는 객체 지향 언어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사이의 패러다임 불일치가 있기때문이다.  이 둘 간의 패러다임 불일치 때문에 개발자는 더 많은 코드를 작성해야 하며, 이는 반복적이고 실수하기 쉬운 작업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개발자는 객체지향적인 설계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 ORM이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준다. 

https://medium.com/@emccul13/object-relational-mapping-9d84807f5536

 

🌱 패러다임 불일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데이터 표현 방식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를 패러다임 불일치라고 한다. 패러다임 불일치가 일어나는 이유는 애초에 이들의 목표와 동작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 객체 지향
    • 필드와 메서드 등을 묶어서 객체로 잘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목표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추상화, 캡슐화, 정보은닉, 상속, 다형성 등 시스템의 복잡성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제공한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를 잘 정규화해서 보관하는 것이 목표

 

🌱 JPA

  JPA는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로, 자바 ORM 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이다. 즉, 인터페이스의 모음이다. 이러한 JPA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대표적인 프레임워크가 하이버네이트(Hibernate)이다.JPA는 애플리케이션과 JDBC 사이에서 동작한다. 개발자가 JPA를 사용하면, JPA 내부에서 JDBC API를 사용하여 SQL을 호출하여 DB와 통신한다. 즉, 개발자가 직접 JDBC API를 쓸 필요가 없다.

 

🌱 Hibernate

 JPA를 구현한 프레임워크 중 사실상 표준이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JPA 기술 스펙이고 하이버네이트는  기능을 구현하여 공급해주는 역할이다.

 

🌱 Spring Data JPA

 Spring framework에서 JPA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모듈)이다. Spring Data JPA의 목적은 JPA를 사용할 때 필수적으로 생성해야하나, 예상가능하고 반복적인 코드들을 대신 작성해줘서 코드를 줄여주는 것이다. 이는 JPA를 한 단계 추상화시킨 Repository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Spring Data JPA는 JPA Provider이 아니다. 단지 데이터 계층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뻔한 코드들의 사용을 줄여주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반드시 기억해야할 점은 Spring Data JPA 항상 하이버네이트와 같은 JPA provider 필요하다는 것이다.

출처 :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이동욱 저)

'항해 99(9기) > 항해 일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 99 30일차  (0) 2022.10.18
항해 99 29일차  (0) 2022.10.17
항해 99 23일차  (0) 2022.10.11
항해 99 20일차  (0) 2022.10.08
항해 99 19일차  (1) 2022.10.07

+ Recent posts